Youtube에서 AV1 코덱을 적극 활용하고 있음. RTX 3000 (Ampere) 이후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1도 신경 쓰지 않아도 되지만 오래된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내장 그래픽 (iGPU)를 통해 AV1 하드웨어 디코딩을 활용 / CPU의 사용률을 낮출 수 있음 (VP9 만으로 만족하는 것도 방법)
1) 시스템 사양 확인
DXVA Checker를 통해 직접 확인 하거나 nVidia Support Matrix를 통해 현재 그래픽 카드에서 지원하는 코덱을 확인할 수 있음
AMD Ryzen 7000 시리즈의 iGPU (AMD Radeon(TM) Graphics에서 AV1 하드웨어 디코딩이 확인 됨
2) AV1 코덱 설치
Microsoft Store AV1 Video Extension 설치 경로
3) Windows 브라우저 설정 변경
Windows 10/11 설정에서 프로세스 별로 특정 GPU (iGPU)를 강제로 지정. 이는 웹브라우저에서 GPU를 활용하겠다는 의미임
4) Youtube 설정 및 확인
Youtube 에서 트래픽 절약을 위해 8K 이상 비디오 또는 라이브 스트리밍 영상들은 대부분 AV1으로 전송하는 것 같음. 비디오 재생 중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 -> Status for nerds 를 클릭하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의 코덱 및 프레임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음. (Codecs : av01) 작업 관리자의 Video Codec 에서 AV1 하드웨어 디코딩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 (nVidia / INTEL 은 Video Decode 항목으로 표시 됨, AMD 와 nVidia/INTEL의 드라이버에서 표시 해주는 항목이 다름)
5) 트러블 슈팅
Firefox 에서는 about:config 로 gfx 또는 av1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음. 평소에 관련 설정을 변경한 이력이 있다면 Chrome 이나 Edge 등의 다른 브라우저로 테스트 하거나 설정 초기화 (재설치) 하는 것을 추천
Firefox 및 Edge 에서는 AV1 디코드가 잘 되는데 Chrome에서만 안 되는 경우 chrome://flags/#use-angle 에서 Choose ANGLE graphics backend 값을 D3D11로 변경 (Dxva Checker 에서 확인 된 프레임웍)
AMD Ryzen 7700 과 9600x 에서 테스트 결과 8K 60p는 재생 불가. 8K 30p 정도가 최대인듯. 8K 디스플레이가 없는데 8K60p가 무슨 소용이냐